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4

레이놀즈수와 층류 및 난류, 천이유동 1. 레이놀즈수(Reynolds number) 유체역학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무차원 수로 관성력을 점성력으로 나눈 물리적 값을 의미하는데, 이는 관성에 의한 힘과 점성에 의한 힘의 정량적인 관계를 표현하고 있으며 어떤 힘이 더 우월하게 작용하고 있는지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보통 유체의 흐름이 층류인지 난류인지 판별하는데 사용되며, 중요한 무차원수로서 스케일과 무관하게 역학적 상사성(dynamic similitude)을 판별하는 기준이 되므로 실험 및 모델링에서 아주 중요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유체의 흐름 패턴, 흐름의 특성 및 다양한 유체역학 매개변수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유체 시스템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며 열전달 연구와 다양한 의약품을 개발하는데도 적용된다. 2. 임계 레이놀즈수(=천.. 2023. 1. 31.
점도, 점도지수, 점성계수, 동점도의 개념 1. 점도의 개념 용기에 물과 물엿을 각각 넣고 뚜껑을 열어 경사를 주어 흐르게 하면 물은 자연스럽게 흘러서 바닥에 쏟아지지만 물엿은 끈적끈적하여 물에 비해서 매우 느린 속도로 바닥에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액체의 끈적거리는 성질을 점성이라 하는데 이는 유체 특유의 성질이다. 이상유체가 아닌 이상 모든 실제 유체는 점성이라는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점성은 유체 흐름에 저항하는 값의 크기로 측정된다. 점성의 강도는 단위 면적당의 힘의 크기로 나타내며 전단응력이기도 하다. 점도는 유체의 흐름과 직각방향으로 1cm 떨어진 2개의 층에 1cm/s의 속도구배가 있어 1㎠당 1dyne의 힘이 작용할 때, 이 유체의 점도를 1poise라고 한다. 2. 점도지수(Viscosity Index)의 개념 윤활유의 .. 2023. 1. 23.
볼트&너트 풀림 방지법 풀림이란 체결된 나사가 진동이나 충격, 운동, 하중의 변화 등이 반복될 때 의도치 않게 나사가 풀리는 것을 뜻한다. 나사가 풀리게 되면 기계의 결합이 헐거워 지면서 기계가 나중에 망가질 뿐 아니라 회전이나 왕복운동을 하는 기계 주변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체결된 나사가 의도치 않게 풀려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풀림의 발생원인은 여러가지가 있다. 우선 너트의 길이가 짧아 접촉압력이 작은 경우 풀린다. 그리고 주변의 진동, 충격을 받아 순간적으로 접촉압력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풀리기도 한다. 또한 나사 접합부에서 미끄럼이 반복되어 아주 작은 미동 마멸이 생기는 경우와 온도변화에 의한 열수축, 열팽창으로 이음이 약해지는 사유로 풀림이 발생한다. 이런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2023. 1. 18.
축이음의 종류 및 특징 1. 축이음이란 동력전달을 위하여 두 축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기계요소를 말하는데, 운전 중 단속(떼었다 붙였다 조정 가능)을 할 수 있는 '단속형 축이음'과 운전 중에는 단속을 할 수 없는(한번 물리면 동력 정지 후 조정 가능) '비단속형 축이음'으로 나뉘어 진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단속형 축이음을 '클러치'라 하고 비단속형 축이음을 '커플링'이라 부른다. 비단속형 커플링에는 고정 커플링, 플랙시블 커플링, 올덤 커플링, 유니버셜 커플링이 있고, 단속형 커플링에는 맞물림 클러치, 마찰 클러치, 한방향 클러치, 원심 클러치가 있다. 2. 커플링(비단속형) : 장착한 후 분해하지 않으면 끊을 수 없음 고정 커플링은 일직선상의 축을 연결한 커플링으로서 두개의 축 상호이동이 불가하며 원통형과 플랜지형이 있다... 2023. 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