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기술사31

건설기계기술사_하중의 개념 및 종류 1. 하중의 개념 외부로부터 받는 힘을 하중이라 하며(반대 : 잔류응력) 하중은 횟수, 주기, 온도, 운동 등의 작용방법과 조건에 따라 강도가 현저히 변화되므로 하중의 종류를 확실히 구분하여 강도 계산 을 실시해야 한다. 2. 종류 하중은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하지 않는 정하중과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변하는 동하중이 있다. 정하중은 막대하단에 걸린 추와 같이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사하중(dead load)과 극히 조용하게 천천히 어떠한 크기까지 가해지는 점가하중(gradually increased load)로 나뉜다. 그리고 동하중은 계속하여 반복작용하는 하중으로서 진폭과 주기가 불규칙 또는 규칙적인 것으로 정하중의 경우 보다 훨씬 작은 응력으로 파괴할 수 있는 응력이다. 동하중 중에서 교번.. 2022. 12. 24.
건설기계기술사_오프셋(Off-Set) 항복강도 1. 오프셋(Off-Set) 항복강도의 개념 응력-변형률 그래프에서 항복점을 쉽게 구하기 어려운 시험재료의 항복강도를 알아내기 위한 방법인데 이는 탄성영역과 소성영역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아 정확한 항복점을 찾기 위해 만든 개념이다. 2. 오프셋으로 항복점을 찾는 방법 탄성영역의 직선구간의 접선을 연신축을 따라 0.2% 수평이동하여 이 접선이 만나는 인장곡선에서의 응력값을 0.2% 오프셋 항복점 이라 한다. 여기서 0.2% 오프셋 항복점은 탄성한계 임의의 근사값이며 0.2% 소성변형까지는 과다한 영구변형이 아님으로 간주한다. 항복강도는 영구변형이 발생하는 시점이기 때문에 설계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기계제품을 설계할 때는 하중에 의해 발행하는 응력이 항복강도보다 작게 설계 되어야 하므로 탄성변형과 .. 2022. 12. 23.
건설기계기술사_인장시험의 응력-변형률 곡선(SS곡선) 1. 개념 인장시험은 재료의 강도를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시험법으로서 인장시편이 끊어질 때까지 잡아당기는 시험이다. 한마디로 재료의 특성을 알기 위해 어떤 녀석인지 잡아당겨보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인장시험을 통해 재료 내부의 응력과 변형률의 관계 를 그린 곡선을 '응력-변형률' 곡선(=Stress-Strain Curve)이라 한다. 2. 인장시험의 목적 재료를 당겨서 엿가락처럼 늘어져서 끊어지도록 함으로서 그 재료가 인장력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며 재료가 얼마나 버티는지와 항복강도, 인장강도, 탄성계수와 같은 재료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3. 응력-변형률 선도에 대한 설명 탄성영역은 응력을 제거하면 원형으로 복귀하는 구간이며 이보다 더 큰 힘으로 잡아당기면 물체가 변형되어 원형.. 2022. 12. 21.
건설기계기술사_크리프(creep) 현상 1. 크리프 현상의 개념 고온에서 장기간 정하중을 가하면 항복응력보다 낮을지라도 응력과 변형이 시간과 더불어 점차 증가하여 결국 파단되는데 이를 크리프 현상이라 한다. (* Creep : 살금살금 움직이다) 2. 크리프 곡선 특정온도에서 인장하중을 가하여 시간에 따라 변형률을 기록한 그래프 를 의미한다. 1차 크리프는 초기변형 이후 탄성 및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구간이고, 2차 크리프는 시간증가에 따라 변형률이 일정한 구간이다. 3차 크리프는 변형속도가 가속되다가 파단하는 구간이다. 3. 크리프 파단 크리프 시험을 통해 파단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 결과는 재료마다 상이하므로 특정 조건에서의 재료의 고유 특성이 된다. 4. 크리프 한도 크리프 현상에 의해 일시적으로 증가해도, 일정 한계의 응력 이하에서는 변.. 2022. 12. 21.